ISO9001:2015 규격은 어떤 부분이 변경되었을까요?

blog main banner

ISO9001:2015 규격은 어떤 부분이 변경되었을까요?

한샘EUG는 지난 2011년부터 국내는 물론 아시아권에서 최초로 “사용자 매뉴얼의 기획개발 및 제작 (Development and manufacture of user manual” 서비스로 ISO9001:2008 규격의 품질경영시스템 인증을 획득하여, 현재까지 이 표준에 부합시킨 품질 경영 시스템을 운영해 왔습니다. 이 규격은 2015년에 ISO9001:2015 규격으로 개정되었는데요, 비즈니스의 환경과 경영시스템의 진화, ISO의 예정된 검토 사항을 적용하기 위해 국제표준화기구(ISO: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에서 개정을 진행하였습니다.

한샘EUG도 이런 변화에 빠르게 대응하기 위해 프로세스 GAP분석을 통해 프로세스 전반에 대한 제/개정 작업을 진행하였고, 그 결과 5월22일부터 24일까지 실시된 심사에서 한 건의 부적합 사항 없이 품질경영시스템의 인증 유지 및 규격 전환을 완료하였습니다.

Scripted by
이뿐
CMD Div.
좌: ISO 9001:2015 심사보고서
우: ISO 9001:2015 인증서

이번 포스팅에서는 개정된 ISO9001:2015 규격의 주요 변경 사항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조직 및 조직 상황의 이해 (4.1항)

기존에도 조직관리에 대한 프로세스는 있었으나 ‘조직의 상황’에 대한 분석을 별도로 진행하지는 않았습니다. 그래서 시스템에서 요구하는 프로세스를 구축하기 위해 “리스크관리 프로세스”를 신규 제정하고 조직의 내/외부 상황을 분석할 대상에 대해 프로세스 관리기준을 정립했습니다. 대표적인 내부 상황으로는 자원의 충족성, 목표달성을 위한 전략, 업무프로세스를, 외부 상황으로는 시장의 변화, 법적 및 규제적 요구사항, 기술의 변화 등의 내용을 포함시켰습니다.

2. 리스크 및 기회를 다루기 위한 조치 (6.1항)

변경된 규격의 주요 내용 중 한 가지인 ‘리스크 기반 사고’에 관한 내용입니다. 이전 규격의 ‘예방조치 프로세스’와 유사한 성격의 내용인데 예방조치 프로세스는 문제가 발생한 후 시정하고 예방하는 사후관리 측면으로 볼 수 있으나, 변경된 규격에서는 문제가 발생하기 전에 상황을 예측하여 예방 조치 활동을 한다는 차이점이 있습니다. 위의 [1. 조직 및 조직 상황의 이해]에서 언급한 조직의 상황분석 결과를 토대로 리스크 평가를 실시하여 리스크에 대한 예방활동을 기획하고 실행하는 프로세스로 진행됩니다. 아마도 시스템을 운영하는 많은 업체에서 이 부분에 대해 고민이 많을 것 같은데요. 참고로 말씀 드리면 리스크 평가에 대한 표준화된 기준은 없으며 각 조직에서 적절하게 만들어 운영하면 된다고 합니다. 한샘EUG의 경우는 FMEA 방식을 조금 변형해서 평가기준을 수립하고 적용했습니다.

3. 조직의 지식 (7.1.6항)

조직이 프로세스 운영과 제품 및 서비스의 적합성을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지식을 정하고, 지속적으로 유지되어야 한다는 내용입니다. 여기서 ‘지식’이란 경험 또는 개선에 의한 내부적인 지식과 학계, 표준, 컨퍼런스 등에서 수집된 외부적인 지식을 모두 포함합니다. 결과적으로 조직의 지식은 조직의 역량을 파악하고 관리하는 프로세스로 생각하면 이해하기 쉬울 것 같은데요, 처음 적용하시는 업체는 고민스러운 항목 중의 한 가지가 될 것 같습니다.

4. 의사소통 (7.4항)

이전 규격에서도 여러 요건의 항목에서 언급되곤 했던 의사소통 항목이 변경된 규격에서는 하나의 프로세스로 정립되었습니다. 내/외부 의사소통을 위한 필요성을 결정하고 그 내용에는 의사소통의 대상, 시점, 공유 대상을 구체화하여 관리하는 것입니다. 이 프로세스에서 가장 중요한 항목은 책임과 권한에 대한 체계적인 기준을 수립하고 대상을 선정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5. 문서화된 정보 (7.5항)

과거에는 문서 관리라 하면 주로 인쇄물 위주의 관리였으나, 변경된 규격에서는 “문서화된 정보”라는 용어를 사용하여 기존 문서와 기록을 대체한다는 내용입니다. 변화하는 정보 매체를 반영하여 문서와 기록에 대한 유연성을 강화한 변경 사항입니다. 개인적으로도 이 부분이 상당히 마음에 드는데요, 매년 심사관련 문서에 대해 인쇄해서 관리하던 구시대적인 유물이 이제야 없어지는 것 같은 느낌이라 매우 반가운 개정 항목입니다.

6. 기타사항

  1. 품질매뉴얼은 필수가 아닌 선택 요건이 되었고
  2. ISO9001:2008 규격의 필수 6개 프로세스에 대한 의무적 절차 및 기준이 없어졌고
  3. 리더(최고경영자)의 역할이 강조되어 “경영대리인” 용어가 없어졌으며
  4. 서비스업종을 고려해 제품이라는 용어대신 출력물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게 되었어요.

LIST

  • Hansem Story

    중국 우한팀의 오피스 이전

    중국 우한팀의 오피스 이전

    5. 8, 2019

  • Hansem Story

    2019 World IT show 컨퍼런스 참관기 1

    2019 World IT show 컨퍼런스 참관기 1

    5. 3, 2019

  • Posts

    Developing Quality Technical Information_2. 사용자 중심으로 잘 만들어졌는가

    Developing Quality Technical Information_2. 사용자 중심으로 잘 만들어졌는가

    4. 30, 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