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TQE(Machine Translation Quality Estimation, 기계 번역 품질 예측)는 최근 로컬라이제이션 업계에서 가장 활발히 논의되는 주제 중 하나입니다. “사람의 개입을 줄이고, 번역 품질을 자동으로 평가한다”는 개념은 매력적이며, TAUS EPIC, ModelFront, COMET-QE, Intento 등 다양한 글로벌 솔루션들이 이미 여러 기업의 벤치마크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한샘글로벌 역시 여러 솔루션을 검토한 끝에, 고객사 문서 환경과 실제 프로젝트 요구에 가장 적합한 EPIC을 선정해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단일 솔루션만으로는 모든 현장의 요구를 충족하기 어렵기 때문에, 한샘글로벌은 EPIC과 내부 개발 솔루션을 병행하는 전략을 택하고 있습니다.
EPIC이 제공하는 기능
EPIC은 국제적으로 검증된 MTQE 플랫폼으로, 대규모 번역 프로젝트에서 자동 승인과 Human PE 라우팅을 지원하며, 다양한 언어와 도메인에 적용 가능한 확장성을 갖추고 있습니다.
주요 기능은 다음과 같습니다:
- 세그먼트 단위 QE 점수화: 각 번역 세그먼트별로 자동 점수를 부여 → “이 부분은 그대로 승인 가능, 이 부분은 Human PE 필요”를 빠르게 식별.
- 자동 승인 + Human Routing 지원: 특정 임계값 이상은 자동 승인, 그 외는 편집자로 라우팅. (다만 실무에서는 자동 승인 비중이 크지 않음)
- 대규모 데이터 처리: 수십만~수백만 단어 단위 번역물도 빠르게 걸러낼 수 있음.
- 비용 절감 근거 제공: Human PE 리소스 투입량을 데이터로 예측해 고객사에 비용 절감 보고 가능.
다만 현재 단계에서는 “사람의 작업량을 크게 줄인다”기보다는, 리뷰어가 참고할 수 있는 보조 지표로서의 활용도가 더 크며, 기능이 점차 성숙해 가는 과정에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한샘글로벌 AIQE솔루션이 보완하는 기능
EPIC이 글로벌 표준을 충족하는 도구라면, 한샘글로벌이 개발한 AIQE 솔루션은 현장 맞춤형 품질 관리에 특화되어 있습니다.
구체적으로는:
- 고객사 특화 규칙 검증: 예) “해시태그·제품명은 번역하지 않는다” 또는 “경고문 표현 방식은 지정된 포맷만 사용한다” 등 프로젝트별 지침을 자동 점검.
- 대량 번역물 사전 스크리닝: 특정 용어 누락, 의미 왜곡, 문장 단위 분리 오류 등 도메인별로 반복되는 문제를 신속하게 탐지하여 리뷰어의 검토 범위를 좁힘.
- 번역가 테스트·선발 자동화: 수백 명의 지원자가 제출한 테스트 번역을 단시간에 평가. 문장별 오류 유형(누락, 오역, 스타일 불일치 등)과 심각도(경미/중대/치명)를 자동 분류해 일관된 합격·불합격 기준 제공.
- 교육·피드백 지원: 반복적으로 검출되는 오류 패턴(예: 마케팅 문구의 어색한 표현, UI 용어 불일치)을 기반으로 교육 자료와 피드백 리포트를 자동 생성.
- 비용 최적화: 상용 MTQE API 호출 비용이 부담되는 내부 QA·테스트 프로젝트에서 경제적 대안으로 활용 가능.
즉, 한샘글로벌 AIQE솔루션은 고객사의 실제 규칙과 도메인 특성을 그대로 반영할 수 있다는 점에서 실용성이 크며, 동시에 번역가 관리·교육 프로세스까지 확장해 내부 리소스 운영 효율성까지 제공합니다.
MTQE 시대, 한샘글로벌의 실용적 접근
MTQE가 업계의 새로운 표준처럼 자리 잡아가고 있지만, 단일 솔루션만으로는 모든 요구를 충족하기 어렵습니다.
- EPIC은 국제적으로 검증된 품질 지표와 글로벌 기준을 제공하여, 고객사에 “세계적으로 통용되는 기준을 따르고 있다”는 신뢰를 줍니다.
- 한샘글로벌 AIQE솔루션은 프로젝트별 규칙과 도메인 특성을 반영해 실제 현장에서 필요한 맞춤형 품질 검증을 수행합니다.
한샘글로벌은 이 두 가지를 결합해,
- 고객사에 글로벌 신뢰성을 보장하고,
- 동시에 현장에서 바로 체감할 수 있는 맞춤형 효과를 제공합니다.
이것이 바로 한샘글로벌이 MTQE 시대에 차별화된 가치를 만들어가는 방식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