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최신 산업 동향부터 심도 깊은 전문 지식, 현지화 전략에 이르기까지,
글로벌 커뮤니케이션을 성공으로 이끄는 다채로운 인사이트를 제공합니다.
UI 텍스트 번역의 핵심 원칙: 글로벌 UI 로컬라이제이션 품질을 위한 7가지 기준
UI 텍스트(User Interface Text)는 단순한 문구가 아니라, 사용자가 시스템과 상호작용하는 언어입니다. 제품의 버튼, 메뉴, 경고, 상태 메시지 등은 사용자가 어떤 행동을 취할지 결정하는 신호이자, 브랜드의 신뢰와 사용자 경험(UX)을 형성하는 핵심 요소입니다. 이러한 UI 텍스트를 다른 언어로 번역할 때, 단어를 바꾸는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습니다. 언어와 문화가 달라져도 사용자가 동일한 직관으로 이해하고 행동할 수 있어야 합니다. 이를 […]
미국 의료기기 시장 진출, IFU와 FDA 규제 대응을 한 번에
미국 시장에 진출하려는 의료기기 제조사에게는 단순한 제품 경쟁력만으로는 부족합니다. FDA 규제 전략 수립, 제품 분류 및 사전 승인 절차(510(k), De Novo 분류 요청, Premarket Approval 등), 라벨링과 광고 문구 검토와 함께, 국제 표준을 충족하는 Instructions for Use(IFU) 문서까지 반드시 준비해야 합니다. 한샘글로벌은 이러한 요구에 대응하기 위해 미국 워싱턴 D.C. 소재의 법률사무소 Amin Wasserman Gurnani(AWG)와 전략적 […]
UI 텍스트의 작성 원칙과 체계
UI 텍스트(사용자 인터페이스 텍스트)는 제품의 사용성을 좌우하는 핵심 요소입니다. 메뉴 이름, 팝업 메시지, 오류 안내, 상태 표시 등은 사용자가 시스템을 어떻게 인식하고 조작하는지를 결정짓습니다. 명확하고 일관된 언어는 제품의 사용성을 높이고 브랜드 신뢰를 형성할 뿐 아니라, 글로벌 시장 진입을 위한 필수 경쟁 요소이기도 합니다. 언어와 문화가 다른 환경에서도 오해 없이 작동하는 UI는 현지 사용자 경험(UX)을 결정짓는 […]
AI로 매뉴얼을 챗봇 텍스트로 전환하기
문서 제작자가 AI를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은 다양합니다. 앞서 소개한 ‘테크니컬 라이터를 위한 AI 활용 가이드: 실무에서 바로 써먹는 4가지 핵심 영역’에서도 확인할 수 있듯이, AI는 문체 변환, 구조 재편, 요약, 재작성 등에서 강점을 보입니다. 이러한 기술을 활용하면 전통적인 매뉴얼 텍스트를 챗봇 텍스트로 전환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매뉴얼을 챗봇 텍스트로 바꾸는 과정을 살펴보겠습니다. 매뉴얼 […]
테크니컬 라이터 성장 시리즈 2강: 사용자 중심의 사고
좋은 문서는 사용자의 시선으로부터 시작됩니다.제품이 아무리 정교하고 성능이 뛰어나도, 그 사용법이 제대로 전달되지 못한다면 사용자에게는 무용지물입니다. 기술문서는 단순한 안내가 아니라, 사용자의 이해와 행동을 이끄는 도구여야 합니다. 문서 작성의 핵심에 있는 것이 바로 ‘사용자 중심 사고(User-centered thinking)’입니다. 이 글은 [테크니컬 라이터 성장 시리즈 1강: 역할과 커리어의 시작점]에 이어, 실제 문서 역량의 핵심인 사용자 중심 사고에 대해 […]
FDA 승인용 IFU 제작 실무 가이드
미국 시장 진출을 준비하는 의료기기 제조사에게 사용설명서(IFU, Instructions for Use)는 단순한 제품 안내 문서가 아닙니다. IFU는 FDA가 요구하는 법적 라벨링 요건의 핵심 문서이자, 제품의 안전성과 규정 적합성을 입증하는 공식 자료입니다. 잘 준비된 IFU는 제품의 허가 심사 과정에서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지만, 불완전하거나 누락된 IFU는 심사 지연이나 향후 법적 책임 문제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Hansem Global은 […]
AI를 활용한 산업 장비 매뉴얼 개선: 기술 중심에서 사용자 중심으로
굴착기, 지게차, 휠로더를 비롯한 다양한 산업 장비 매뉴얼은 여전히 기계 중심, 기능 중심으로 작성된 경우가 많습니다. 사내에 전담 문서팀이 없는 기업도 많아, 문서 관리가 체계적으로 이뤄지지 않고 파생 제작 과정에서 내용이 복잡해지며 일관성을 잃는 사례도 쉽게 찾아볼 수 있습니다. 과거에는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전문 집단의 개입이 필요했지만, 이제는 AI가 문서 제작 경험이 부족한 사람에게도 […]
MTQE 시대, 한샘글로벌은 왜 두 가지 솔루션을 병행하는가
MTQE(Machine Translation Quality Estimation, 기계 번역 품질 예측)는 최근 로컬라이제이션 업계에서 가장 활발히 논의되는 주제 중 하나입니다. “사람의 개입을 줄이고, 번역 품질을 자동으로 평가한다”는 개념은 매력적이며, TAUS EPIC, ModelFront, COMET-QE, Intento 등 다양한 글로벌 솔루션들이 이미 여러 기업의 벤치마크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한샘글로벌 역시 여러 솔루션을 검토한 끝에, 고객사 문서 환경과 실제 프로젝트 요구에 가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