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TQE 시대, 한샘글로벌은 왜 두 가지 솔루션을 병행하는가

MTQE(Machine Translation Quality Estimation, 기계 번역 품질 예측)는 최근 로컬라이제이션 업계에서 가장 활발히 논의되는 주제 중 하나입니다. “사람의 개입을 줄이고, 번역 품질을 자동으로 평가한다”는 개념은 매력적이며, TAUS EPIC, ModelFront, COMET-QE, Intento 등 다양한 글로벌 솔루션들이 이미 여러 기업의 벤치마크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한샘글로벌 역시 여러 솔루션을 검토한 끝에, 고객사 문서 환경과 실제 프로젝트 요구에 가장 […]

번역 품질이 나쁜 이유, 원문이 문제일 수 있습니다

많은 제조사들이 매뉴얼과 기술 문서의 번역 품질이 낮을 경우 번역사나 번역 프로세스의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현장에서 마주하는 실제 문제의 근원은 다릅니다. 바로 원문 문서 자체에 구조적 결함과 용어 불일치, 번역하기 힘든 문장과 표현이 포함되어 있다는 것입니다. 아무리 숙련된 번역가라도, 품질이 낮은 원문을 기반으로 완성도 높은 번역을 만드는 데에는 한계가 있습니다. 그리고 이러한 원문 품질 문제는 […]

한샘글로벌 AI 워크스테이션

AI는 개인과 기업의 작업 방식을 빠르게 바꾸고 있습니다. 번역과 문서 개발 분야도 예외가 아닙니다. 한샘글로벌의 실무자들은 매일 AI를 활용해 새로운 작업 방식을 실험하고, 때로는 결과에 실망하기도 하지만, 많은 영역에서 분명한 성과를 확인하고 있습니다. 이처럼 AI는 더 이상 특별한 기술이 아니라 실무의 일상적인 일부가 되었습니다. 반복되는 AI 활용에서 시작된 아이디어 문제는, 현장에서 AI를 활용하기 위해 매번 […]

GCSP 전환,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할까?

최근 CSA Research는 언어서비스 산업이 이제 ‘포스트 로컬라이제이션(Post-localization)’ 시대에 접어들었다고 진단하며, 단순한 번역 중심의 모델에서 벗어나 기업의 글로벌 콘텐츠 운영을 지원하는 ‘Global Content Services Provider (GCSP)’로의 진화를 요구하고 있습니다. 출처: Entering the Post‑Localization Era: A New Dawn for the Language Services Sector 하지만 이런 변화는 기술 도입만으로 실현되기 어렵습니다. CSA 역시 생성형 AI를 새로운 기회로 […]

생성형 AI, 기계번역을 대체할 수 있을까?

2022년부터 주목받기 시작한 생성형 AI(Generative AI, 이하 GenAI)는 번역 산업에도 빠르게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특히 언어 서비스 업계에서는 “기존의 신경망 기계번역(NMT)은 곧 구식이 되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습니다. 이에 대해 글로벌 리서치 기관 CSA Research는 다음과 같은 분석을 내놓았습니다.원문: Is GenAI Going to Replace NMT?저자: Arle Lommel (CSA Research) 한샘글로벌은 이 보고서를 기반으로 GenAI의 […]

Unite Seoul 2025 참관기: AI 협업과 콘텐츠 로컬라이제이션의 미래를 엿보다

6년 만에 서울에서 다시 열린 Unity 개발자 컨퍼런스, Unite Seoul 2025. 행사장에 들어서자마자 느껴진 건 개발자들의 진지한 에너지였습니다. 무대에는 AI와 협업 툴을 이야기하는 Unity의 글로벌 리더들이 서 있었고, 객석에는 약 2,900여 명의 업계 실무자들이 각자의 관심사에 집중한 채 귀를 기울이고 있었죠. 이번 Unite는 기술 컨퍼런스를 넘어 개발 현장의 흐름과 로컬라이제이션의 방향성까지 조망할 수 있는 자리였습니다. […]

AI 라벨링 프로젝트, 왜 언어서비스 파트너가 중요한가?

AI 시스템이 빠르게 발전하고 있지만, 여전히 그 성능은 ‘정확하게 가공된 학습 데이터’에 크게 의존합니다. 특히 고객 리뷰, 대화 로그, 영상 자막, 의료 이미지처럼 텍스트·음성·이미지 데이터를 다국어로 처리해야 하는 프로젝트에서는 단순히 많은 데이터를 모으는 것만으로는 부족합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언어별 의미의 정확성’과 ‘문화적 문맥’을 제대로 반영한 정교한 라벨링 품질입니다. 예를 들어, 감정 분석 AI를 학습시키는 프로젝트에서 […]

인도네시아 게임 시장 공략, 현지화가 답입니다

인도네시아는 지금, 빠른 속도로 성장 중인 아시아 최대 게임 시장 중 하나로 부상하고 있습니다.인도네시아 게임협회(AGI)에 따르면, 이 시장은 2024년까지 15억~20억 달러의 수익을 창출할 것으로 예상되며, Statista는 2029년까지 약 55억 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이라 전망하고 있습니다. 특히 2024년 인도네시아 게임 페스티벌(IGF)에서 발표된 자료에 따르면, 인도네시아는 활성 사용자 수 기준 세계 최대 수준의 게임 시장으로 자리 잡고 […]